박형준 부산시장 등이 13일 부산 사상~하단선 공사장 인근 싱크홀 발생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부산시 제공부산에서 도시철도 공사장 일대 싱크홀과 리조트 공사 현장 화재 등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부산시가 시민안전 비상대책 보고회를 열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시는 15일 오후 박형준 부산시장 주재로 '시민안전 비상대책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반침하와 산불, 산사태 등 9대 분야 39개 과제를 중심으로 위험을 분석하고 대책을 논의했다.
특히,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장 일대를 중심으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 대책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시는 먼저, 싱크홀 등 지반침하에 대비해 인공지능(AI) 기반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 차량을 확충하고, 굴착 공사시 자동계측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공사 관계자와 구·군, 경찰 등과 협력체계를 갖추고 싱크홀 의심 구역을 조기에 발견해 피해를 예방하는 방안도 내놨다.
시는 또, 급경사지·산사태에 대비해 인공지능(AI) 기반 드론과 지능형 기둥 등을 활용해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현장 예방단 인원을 확충할 예정이다.
전통시장이나 쪽방촌 등 화재 취약 시설에 대해서는 스마트 화재경보 시스템과 스프링클러 설치를 확대하는 것과 함께 노후 전선을 교체하는 등의 안전 패키지를 적용할 방침이다.
해양사고 예방을 위해 대형 어선의 선복량 기준 완화를 정부에 건의하고, 구명조끼와 블랙박스, 자동소화장비 보급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외국인 선원이 늘어나는 현실을 반영해 다국어 안전표지를 배포할 예정이다.
최근 극한 강우에 따른 침수와 고립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에 대비해 하천 진출입 차단시설 설치를 조속히 완료하고, 자율방재단 중심의 민관합동 순찰을 병행해 안전 사각지대를 줄인다는 계획이다.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리조트 신축 공사장 화재 현장. 부산소방재난본부 제공산업현장의 화재 위험을 막기 위해 이동형 CC(폐쇄회로)TV와 스마트 안전모 등 스마트 안전 장비 의무화를 확대할 방침이다. 또, 공사 감독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전국적으로 큰 피해를 남긴 산불과 관련해서는 산불 무인감시시스템을 증설하고, 임차 헬기와 산불소화시설을 확충할 방침이다.
시는 붕괴 우려가 있는 E등급 공동주택 거주자의 이주를 돕는가 하면 빈집과 무허가 건축물에 대해서는 이행강제금 제도를 활용하며 대피계획 제출 등 안전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시는 특히, 재난 관련 정보가 분산돼 있어 시민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점을 개선하기 위해 '(가칭)도시안전 통합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박형준 시장은 이날 회의에서 "공공부문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하고도 기초적인 역할은 시민의 일상과 생명을 지키는 일"이라며 "각자의 자리에서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맡은 바 책무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