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건설경기 숨통 트일까… 철도 지하화·북항 개발 본격 추진

부산 건설경기 숨통 트일까… 철도 지하화·북항 개발 본격 추진

핵심요약

부산진역~부산역 철도 지하화, 북항 재개발과 연계 추진
총 1조 8천억 원 규모, 인공지반 조성해 37만㎡ 개발
지역 건설 경기 회복 기대감

경부선 철도 지하화(부산진역~부산역 구간) 통합개발사업예상 조감도. 부산시 제공경부선 철도 지하화(부산진역~부산역 구간) 통합개발사업예상 조감도. 부산시 제공한파가 닥친 부산지역 건설 경기에 숨통을 틔울 수 있을까. 정부가 부산진역~부산역 구간의 철도 지하화를 확정하고, 이를 북항 재개발과 연계한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 사업을 통해 철도로 인해 단절됐던 원도심과 항만이 하나로 연결되며, 침체한 건설 경기 회복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부산 도심 개발, 철도 지하화 본격 추진

정부는 19일 발표한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에 따라 부산을 비롯한 비수도권 3개 지역(부산·대전·안산)을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지'로 선정하고, 관련 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기로 했다.

부산진 컨테이너 야적장(CY)과 부산역 조차장 구간을 포함한 2.8km의 철도 구간이 지하화되며, 상부에는 인공지반(데크)이 조성돼 도시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이번 사업에 총 1조 8천억 원을 투입해 37만㎡ 규모의 개발을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기존 철도 시설을 부산신항으로 이전한 후 상부를 입체 개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원도심과 북항의 연결을 강화하고, 도심 내 유휴 공간을 최적화하는 것이 목표다.

북항 재개발과 시너지 효과 기대

부산항 북항 재개발 사업 조감도. 부산항만공사부산항 북항 재개발 사업 조감도. 부산항만공사부산항 북항 재개발 2단계 사업과도 긴밀하게 연계될 이번 프로젝트는 해양 기관 클러스터 조성과 도심-항만 연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된다.

정부는 부산항만공사(BPA)를 주축으로 항만 배후부지에 신산업을 유치하고, 데이터센터 및 버티포트(도심형 이착륙장) 등의 입주를 허용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오는 5월까지 항만법 시행규칙 개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또한, 북항 2단계 부지와 연접한 55보급창 이전·개발을 통해 원도심과 항만 간 물리적 단절을 해소하고, '수정축'이라는 새로운 연결축을 조성한다.

이는 북항 재개발과 연계된 국가적 프로젝트와 보조를 맞추면서 부산의 국제적인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부산 도심의 새로운 미래, 지역 건설 경기 반등 기대

전문가들은 철도 지하화가 완료되면 부산 도심의 공간 활용이 극대화되고, 북항 재개발과 결합해 도시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 철도로 인해 단절됐던 원도심과 항만이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통합되면서, 지역 건설 경기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는 올해 상반기 중으로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하고, 2027년부터는 본격적인 설계에 돌입한다.

2030년부터는 부산진CY 이전과 인공지반 시공을 진행하며, 2037년까지 부지 조성 및 분양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 같은 일정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10여 년 후 부산은 도시 개발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것으로 전망된다.

침체한 지역 건설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부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