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9월 부산항 북항 5물양장에 장기계류 중이던 유조선이 침몰해 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부산해양경찰서 제공
지난해 9월 부산항 북항 5물양장에 장기계류 중이던 유조선이 침몰해 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부산해양경찰서 제공장기 계류 선박 문제가 지적된 부산 북항에서 지난해 부산지역 전체 해양 오염사고의 40%가 집중된 것으로 집계됐다. 
22일 부산해양경찰서의 '해양오염사고 통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에서는 모두 47건의 해양오염 사고가 발생해 오염물질 12.3㎘가 유출됐다. 
해역별 발생건수는 북항이 19건으로 전체 사고의 40%를 차지했다. 이어 남항 12건, 감천항 9건, 남외항 3건, 기타 2건 순이다. 
북항은 장기계류 선박 등 해양오염 취약선박이 많을 뿐 아니라 급유선, 컨테이너선 등의 통항량도 많은 곳이다. 
장기계류 선박의 침몰·해양오염 위험에 대한 지적이 이어지자,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은 지난해 북항에 방치된 고위험 선박 7척에 대한 강제 이동 절차를 실시하기도 했다. 
사고원인으로는 밸브·스위치 조작 미숙 등 부주의에 의한 사고가 21건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고, 선체 노후 등 관리 소홀로 인한 파손이 17건으로 뒤를 이었다. 
자칫 침수나 전복 등 대형 해양오염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해난사고가 16건 발생했지만, 유류 이적과 선체 파공부, 선박 비상 예인 등 신속한 조치로 유출량을 최소화했다고 해경은 설명했다. 
부산해양경찰서 관계자는 "민·관 합동 방제 협력체계를 강화해 대형 복합 해양사고 현장 대응력을 키우겠다"며 "해양오염 위해요소를 집중 관리하는 등 빈틈없는 사고 대응 체제를 통해 안전하고 깨끗한 바다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