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공회의소 제공KDB산업은행 부산 이전에 힘을 싣기 위해 부산·울산·경남 상공계와 시민사회, 학계가 '민간협의회'로 총결집한다.
협의회는 국회에 산은 개정법 개정을 촉구하고, 국제금융도시 부산과 지역균형발전 추진에도 힘을 합친다.
22일 부산상공회의소에 따르면 부산상의 등 부울경 상공계와 시민사회단체, 학계는 26일 오후 부산상의 국제회의장에서 '산업은행 부산 이전 추진협의회'를 출범한다.
여야가 극한의 대치국면을 이어가고 있고, 산은 이전이 자칫 정쟁거리로 전락하면 법안 통과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에 민간이 똘똘 뭉친 것이다.
협의체는 산은 본점을 부산으로 옮겨 국제금융도시 부산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이를 통해 수도권 일극체제를 돌파하고, 지역소멸, 저출생, 고령화 위기를 연계해 부산의 난제를 함께 극복하겠다는 것이다.
협의회는 공동대표 7명, 운영위원 21명 등 총 28명으로 꾸려졌다.
공동대표에는 장인화 부산상의 회장, 이윤철 울산상의 회장, 구자천 창원상의 회장 등 부울경 상공계 수장이 나란히 이름을 올려 지역균형발전의 열망을 담았다.
또, 박재율 지방분권균형발전부산시민연대 대표와 조용언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 도덕희 한국해양대학교 총장, 전호환 동명대학교 총장도 대표에 이름을 올렸다.
운영위원은 이영활 부산상의 상근부회장, 양미숙 부산참여연대 사무처장, 도한영 부산경실련 사무처장, 김민지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동남권협의회 회장 등 21명이 활동한다.
추진협의회는 출범 선언문을 통해 "21대 정기국회 산업은행법 개정으로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완성하자"고 강조할 방침이다. 협의회는 "공공기관 이전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핵심 정책이고, 산업은행 부산 이전 의미와 효과는 엄청날 것"이라며 "산업은행 이전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 부울경 여야 의원들이 힘을 합쳐 일부 의원들을 설득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이번 정기국회에서 충분히 법 개정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협의회는 "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부·울·경을 중심으로 한 동남권 경제를 활성화하고 부산을 국제금융 중심 도시로 성장시키는 주춧돌이 될 것"이라며 "서울 일극주의가 아닌 부산과 서울이 함께 성장하는 금융중심지 정책으로 국가 전체 역량을 확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협의회는 출범하자마자 여야 지도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의원 면담, 각계 릴레이 기자회견, 성명 발표에도 나선다. 또, 국민적 지지를 이끄는 각종 캠페인도 벌이는 등 산은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할 때까지 모든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