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극한호우 대비' 지하차도 비상대피로 설치 추진

부산시, '극한호우 대비' 지하차도 비상대피로 설치 추진

관내 34개 지하차도 대상으로 '비상대피로 확보사업 추진'
기존 연결통로 활용한 외부 대피 또는 출입구 양측 대피 유도 방안 추진

지하차도 비상대피로 설치 표준안. 부산시 제공지하차도 비상대피로 설치 표준안. 부산시 제공극한호우에 따른 지하차도 침수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부산시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지하차도 내 비상대피로 설치에 나선다.

부산시는 시내 34개 지하차도를 대상으로 '지하차도 비상대피로 확보 사업'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시는 앞서 지난 2020년 초량 제1지하차도 침수사고 이후 시내 지하차도에 차단기와 수위계, CCTV 등을 통한 차단시스템을 구축해 침수사고에 대처해 왔다.

하지만, 지난 7월 오송 궁평2 지하차도 침수사고와 같이 극한호우로 인한 침수 시 지하차도 내부에 차량이 고립될 수 있는 우려가 남아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는 지하차도에 대한 확인조사와 함께 구·군 및 부산시설공단과 협의해 '지하차도 비상대피로 설치 표준안'을 마련했다.

지하차도 침수 대피시설과 관련한 별도 규정이 없어 침수에 대비한 비상대피로 확보 사례는 전국에서 처음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표준안은 두 가지로 나뉘는데, 먼저 기존 지하차도 내부에 설치돼 있는 비상출입문과 연결통로(계단·사다리 등)를 활용해 비상대피로를 확보하는 방안이다.

두 번째는 기존 시설을 활용한 대피로 확보가 불가능할 경우 비상사다리와 대피유도핸드레일, 인명구조함, 비상유도표지판 등의 '비상대피시설'을 신규 설치해 지하차도 줄입구 양쪽으로 신속하게 대피를 유도하는 방안이다.

시는 이번 표준안을 토대로 시설물 관리주체인 구·군 및 부산시설공단과 논의를 거쳐 내년부터 2026년까지 단계별로 비상대피로를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앞서, 부산시의회 성현달 의원은 지난 7월 열린 제315회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지역 내 지하차도에 비상탈출구 등 대피시설을 설치해야 한다고 촉구한 바 있다.

성 의원은 당시 "극한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만큼 지하차도에 대피로를 확보하거나 피난시설을 설치해 침수로 인한 인명피해를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부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