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동 배후단지 영구 장치장. 부산항만공사 제공부산항만공사(BPA)가 지난해 7월부터 부산항 신항에 마련해 운영하는 공용장치장이 수출업계 물류난 해소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BPA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한 해외 주요 항만봉쇄와 적체 등 글로벌 해상물류 불안정 여파로 신항 컨테이너 부두 장치장 부족 현상이 발생하자 이를 타개하고자 신항 서측 컨테이너 배후단지와 웅동 배후단지 여유 부지를 활용해 수출화물 임시 보관소 4곳을 운영하고 있다.
BPA는 국내 수출기업들의 원활한 수출 물류 지원을 위해 수출화물 705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일시 보관할 장치장을 30억 원을 들여 조성했으며 보관비용도 인근 장치장보다 40% 이상 저렴하게 제공하고 있다.
지난 1년간 이들 장치장을 통해 수출화물 약 14만TEU를 처리해 약 40억 원의 물류비를 절감했다. 장거리 운행을 하는 트레일러 운전자 편의를 위해 야간 연장 및 주말 운영(토)을 시행하고 있다.
BPA는 부산항 신항 웅동배후부지에 조성한 4만 2천㎡(약 1만 3천평) 규모의 영구 장치장을 지난 24일 정식 개장하고, 본격 운영을 시작했다. 수출용 일반·냉동 컨테이너 약 3400TEU를 보관할 수 있는 이 장치장은 365일 연중무휴로 평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 토·일·공휴일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된다.
이로써 부산항 신항에서 운영 중인 컨테이너 화물 장치장은 총 5곳(22만 8천㎡)으로, 약 1만TEU를 보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BPA 관계자는 "글로벌 물류대란에 신속하게 대응해 장치장을 마련함으로써 수출 물류난 해소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며 "외부 장치장을 지속 운영해 새로운 해운·항만시장 변화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