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산업현장, 최저임금 인상 부담 커…채용 축소

  • 0
  • 폰트사이즈
    - +
    인쇄
  • 요약

부산 산업현장, 최저임금 인상 부담 커…채용 축소

핵심요약

감내 가능한 최저임금 인상률 0~3% 미만
최저임금 인상 결정에 코로나19 위기 상황 최우선 반영 원해
신규 채용 줄이고 근무시간 조정 불가피
일자리 지키는 노사 상생 노력 중요

서부산 산업단지. 자료사진서부산 산업단지. 자료사진지난 19일 내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5.1%가 오른 9160원으로 고시되면서 경영계가 이의 제기에 나서는 등 후폭풍이 거센 가운데 부산지역 산업현장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는 22일 내년 최저임금에 대한 지역 제조기업 100곳의 의견을 담은 긴급 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조사 결과 58.5%가 최저임금 동결을 바란다고 밝혔다. 35.8%는 소폭 인상을, 5.7%는 삭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지역 제조기업들이 현 상황에서 감내 가능한 최저임금 인상 수준은 1~3% 미만이 가장 많았다. 22.6%가 1~2% 미만, 20.8%는 2~3% 미만이었다. 하지만 동결과 동결에 가까운 1% 미만도 각각 28.3%, 9.4%로 비중이 높았다. 반면 5% 이상 인상을 감내할 수 있다고 한 기업은 7.5%에 불과했다.
 
A사는 "기업 경영 환경을 감안해 동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했고, B사 역시 "인상이 불가피하더라도 1% 내에서 검토해야 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조사기업 중 56.6%가 최저임금 결정에 코로나19로 인한 기업 경영상황을 우선 반영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어 물가상승 18.9%, 고용상황 13.2%, 경제성장률 5.7% 순으로 나타나 경제성장률을 가장 비중있게 고려한 최저임금위원회 공익위원의 산출 기준과는 거리가 있었다. 지난 12일 최저임금위원회는 경제성장률(4.0%)에 소비자물가 상승률(1.8%)을 더하고 여기에 취업자 증가율(0.7%)을 뺀 수치를 2022년 최저임금 산출 근거로 제시한 바 있다.

내년 최저임금 인상으로 기업들의 신규 채용은 불가피하게 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기업 차원의 대책에 대해 35.8%가 신규 채용을 축소하겠다고 답했다. 근무시간 조정 28.3%, 감원 13.2%, 인센티브 축소 9.4%, 복지 축소 3.8% 등이 뒤를 이었다.

C사는"기업 입장에서 복지로 나가던 비용을 줄일 수도 있다"고 말했고, D사도 "중소기업의 선택은 채용을 줄이는 것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 관계자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이어지고 있어 중소기업은 물론 소상공인들의 고통이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는 최저임금 인상보다 일자리를 지키는 노사 상생 노력이 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부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