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서구청이 추진 중인 완월동 도시재생 프로젝트인 '완월 선샤인 프로젝트'. (사진=부산 서구청 제공)
부산시민 절반가량은 부산 마지막 성매매 집결지인 서구 '완월동'을 도시재생 방식으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경대 지방분권발전연구소와 시민정책공방이 주관한 '부산 완월동 성매매 집결지역의 도시재생에 대한 의식 조사'에 따르면, 부산시민의 45.2%가 완월동을 '민관 협치를 통한 도시재생 방식'으로 탈바꿈시켜야 한다고 답했다.
'관 주도 철거·수복형 복합건물 개발방식'이 21.2%, '현 상태로 자연스럽게 도태시키는 방식'이 15.6%로 뒤를 이었다.
완월동 일대 주민들이 주장하는 '민간 주도 대규모 자본투입을 통한 고밀 개발'을 선호하는 부산시민은 10.8%에 그쳤다.
완월동이 위치한 서구주민도 43%가 도시재생 방식을 선호했고, 전문가 그룹에서는 무려 82%가 도시재생이 적합하다고 답했다.
현재 서구는 완월동을 포함한 충무동·남부민1동 일대를 도시재생으로 새단장하겠다는 계획인 데 반해, 완월동 일대 일부 주민들은 재개발을 주장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부산 서구청에서 열린 '완월 선샤인 프로젝트' 공청회에서 도시재생에 반대하는 주민들. (사진=박진홍 기자)
완월동 일대 변화 필요성에는 부산시민 81.6%, 서구주민 78%가 공감했다.
완월동 일대 성매매 업소 폐쇄 방법을 묻는 문항에는 부산시민 42.8%, 서구주민 36%가 '몰수 추징 등 강력한 단속으로 문을 닫게 해야 한다'고 답했다.
또 부산시민 45.5%와 서구주민 39.4%는 변화를 추진할 때 성매매 업소 업주나 알선업자를 배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 결과에 대해 '부산 완월동 폐쇄 및 공익개발 추진을 위한 시민대책위원회'는 "완월동 집결지 폐쇄와 변화에 부산시민과 서구주민이 다 함께 공감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여성착취의 공간이자 식민지 시기 아픈 역사를 간직한 완월동이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기를 바라며, 도시재생을 통한 변화 추진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부산시와 서구청이 후원한 이번 조사는 부산참여연대와 여성인권지원센터 '살림' 주최로 지난 9월 12일부터 일주일 동안 전화면접으로 진행됐다.
조사 대상은 부산 15개 구·군 주민 500명, 서구주민 100명, 정치·교육 등 시민사회 전문가 50명이었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4.4%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