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산항 개발에 6,772억 원 투입..."친환경 스마트 항만 조성 박차"

올해 부산항 개발에 6,772억 원 투입..."친환경 스마트 항만 조성 박차"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신항 토도 제거
물류수송체계 확충 등 적극 추진

부산신항(자료사진)

 

올해 부산항 개발에 국비와 자체예산 등 모두 6,772억 원이 투입된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와 부산항만공사는 20일 올해 부산항 개발에 6,772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사업주체별로는 국비 2,374억원, 부산항만공사(이하 BPA) 3,298억원, 민간자본 1,100억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사업을 보면 대형선박의 통항 안정성 확보를 위해 공사중인 부산항 신항 토도 제거(토석 245만㎥)는 올해 상반기에 완료할 계획이다.

또 2022년 신항 서'컨'부두 개장과 관련해서는 항로의 적정수심을 확보하기 위해 개발(2단계) 준설을 지속 추진한다.

물류수송체계 확충을 위해 임항교통시설(철도 4.9km, 임항도로 2.4km) 실시설계와 진입도로(2.2km) 개설은 연내 준공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BPA는 서'컨'부두 5선석(3선석 22년 개장, 2선석 26년 개장) 축조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며, 특히 우선 개장 대상인 3선석은 올해 상반기에 상부시설(토목, 건축, 장비 등)을 착공할 계획이다.

그리고 항만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부산항건설사무소와 BPA가 추진 중인 남'컨' 배후단지(144만㎡)와 민간투자사업인 남'컨'부두(3선석)도 올해 사업을 예정대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밖에도 소형선 전용부두와 신규 준설토투기장(2구역) 호안 축조를 신항에서 추진하고 신항 개발지역(우도·제덕·삼포·수도) 어민들의 작업환경 개선 등을 위해 물양장 정비를 올해중에 착공할 계획이다.

BPA는 북항 내 대기오염 관리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사업비의 40%를 국비로 지원받아 감만·신선대부두를 대상으로 육상전원공급설비(AMP) 설치를 연내 착공할 계획이다.

부산항건설사무소 이철조 소장은 "부산항을 동아시아 최첨단 물류 허브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해 체계적인 사업관리와 속도감 있는 예산 집행을 통해 친환경 스마트항만 조성과 지역경제 활성화 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부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