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벡스코' 건립사업 중단, 첨단복합지구 조성 '빨간불'

'제 2벡스코' 건립사업 중단, 첨단복합지구 조성 '빨간불'

김도읍 의원 "부산시 사전없의 없이 제2 벡스코 '장기계획'전환
컨벤션 센터 건립에 따른 일자리 창출 등 기대 무산 지적

자유한국당 김도읍 의원 (부산 CBS)

 

부산시가 ‘제2 전시컨벤션센터(벡스코)’ 건립사업을 중단함에 따라 연구개발특구 첨단복합지구(이하 첨단복합지구) 조성 사업에 빨간 불이 켜졌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김도읍(부산 북구·강서구을, 자유한국당) 의원은 “부산시가 첨단복합지구 사업시행자인 LH와 사전 협의도 없이 주요 앵커시설인 ‘제2 벡스코’ 건립을 장기 계획으로 전환함에 따라 사업에 차질을 빚을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현재 첨단복합지구 토지이용계획에 따르면, 컨벤션센터 부지는 9만7천평으로 첨단복합지구 내 시설 중 가장 큰 규모”라며 “LH가 실시한 자체 사업타당성 분석결과 비용편익(B/C) 1.68, 수익성 지수(PI) 1.1389로 모두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으나, 컨벤션센터가 빠질 경우 사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

지난 1월 LH는 컨벤션센터 건립을 포함하는 내용으로 기재부에 첨단복합지구 조성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했다.

하지만, 컨벤션센터 건립 무산이 예타 결과에 악영향을 미칠 경우 사업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것이 김 의원의 주장이다.

이런 과정에서 부산시가 지역민의 입장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무책임하게 대응을 하고 있다고 김 의원은 지적했다.

LH 관계자에 따르면, 부산시의 ‘제2 전시컨벤션센터’ 추진 중단 소식을 지난 18일 언론을 통해 처음 접했다.

그후 지금까지 시로부터 그 경위나 앞으로 계획에 대해 어떠한 연락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타를 통과 시키려면 사업계획 변경 등 대응방안을 위해 논의를 해야 하는데 부산시의 의지가 없으면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특히 첨단복합지구 사업예정지는 2017년 2월부터 개발행위허가제한(‘17.2.8.~’20.2.7.) 및 토지거래허가구역(‘17.2.13.~’22.2.12.)으로 지정돼 있는데 예타 장기화로 인해 사업이 지연될 경우 사유재산권 침해로 지속적인 민원이 예상된다.

또, 부산시와 LH가 사업성 확보를 위해 컨벤션센터 대신 주거시설 등을 도입할 경우 첨단복합지구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다. 부산연구개발특구가 실패로 돌아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 의원은 “부산시가 수년간 검토하고 추진해 온 사업을 여론수렴도 없이 오거돈 시장이 졸속으로 중단결정을 내림에 따라 컨벤션센터 건립에 따른 일자리 창출, 경제활성화, 문화산업 육성 등의 효과를 기대했던 서부산 시민들에게 큰 실망감을 남겼다”며 “오시장은 서부산 시민들에게 그에 상응할 만한 보완책은 무엇인지, 첨단복합지구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밝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부산시는 2016년 ‘MICE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시컨벤션시설 확충 용역’과 2017년 ‘제2전시컨벤션센터 건립 기본계획 수립용역’을 통해 강서구 대저1동 연구개발특구 첨단복합지구 내에 제2 컨벤션센터를 건립하기로 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오 시장이 2030등록엑스포 개최 예정지를 서부산 지역에서 북항 재개발지구로 변경했다.

북항 일대에 70,000㎡ 규모의 컨벤션센터를 건립하고 이를 영구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함에 따라 서부산권 컨벤션센터 건립 사업이 사실상 무산됐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부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