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저장장치(ESS) 팜(Farm)' 개요도. 부산시 제공부산이 분산 에너지 특구에 지정돼 첨단 산업 유치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부산시는 고도화된 인프라를 구축해 기후 위기 대응과 산업 경쟁력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5일 오전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주재 에너지위원회에서 부산이 전남과 경기, 제주와 함께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분산특구)으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부산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대규모로 설치해 데이터센터나 항만에 전기를 직접 공급하는 모델로 선정됐다. 대상 지역은 '강서 스마트그리드'로, 에코델타시티와 명지지구, 강서권 6개 산업단지 49.9㎢에 달한다.
분산특구는 에너지 사업자가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그 지역에서 직접 거래하도록 허용하는 구역으로, 새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핵심 에너지 정책이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중앙집중형 전력 시스템으로 인해 과도한 송전 비용과 전력 손실, 지역 간 에너지 불균형 등 구조적 한계를 겪어 왔다. 부산은 다른 지역보다 전력 자립도는 높지만, 서부산에 산업단지가 있고 동부산에 발전시설이 집중된 구조 탓에 도시 내 전력 수급 불균형과 공급 불안정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박형준 부산시장이 5일 부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박진홍 기자이번 분산특구 지정으로 부산은 연간 157억 원에 달하는 산업체 전기요금 절감과 2500억 원 규모 설비 투자비 절감,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해소를 통한 연간 44억 원 절감 등이 기대된다.
특히 현재 조성 중인 분산 특구 내 ESS가 들어서면 500MWh 규모로 전력 저장이 가능해진다. 이는 4만 2천 세대가 하루에 쓸 수 있는 전력양으로, 첨단 데이터센터 5개를 운영할 수 있는 규모다.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력공급 기반이 마련되면 데이터센터나 반도체, 인공지능(AI) 기반 기업 등 첨단 기업 유치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분산 에너지 특구 지정은 부산이 지속 가능한 도시이자 첨단 산업 중심 도시, 에너지 자립 도시로 나아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될 것"이라며 "부산시는 태양광, 수소, ESS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을 활용하고 스마트그리드 중심의 고도화된 인프라를 기반으로 기후 위기 대응과 산업 경쟁력 확보라는 두 목표를 함께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