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권 업체인 척…범죄 수익금 100억 원 세탁한 일당 구속

상품권 업체인 척…범죄 수익금 100억 원 세탁한 일당 구속

자금 세탁 조직 총책 등 13명 구속 송치
투자 사기 등 의뢰 받은 범죄 수익금 자금 세탁
상품권 사업자 등록…상품권 거래 계좌 개설해 이용
숙소 4곳에 행동강령도…조직적 범행 이어가

범죄수익 자금세탁 조직원이 상품권 거래 대금을 가장해 은행에서 현금을 인출하고 있다. 부산경찰청 제공  범죄수익 자금세탁 조직원이 상품권 거래 대금을 가장해 은행에서 현금을 인출하고 있다. 부산경찰청 제공 상품권 업체로 허위 사업자 등록을 한 뒤 사기 범죄 수익금 100억 원 상당을 조직적으로 세탁한 일당이 무더기로 구속 송치됐다.
 
부산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범죄단체조직, 통신사기피해환급법 위반 등 혐의로 자금세탁 조직 총책 A(30대·여)씨와 중간 관리책 B(20대·남)씨, 조직원 11명 등 모두 13명을 구속 송치했다고 4일 밝혔다.
 
A씨 일당은 지난해 8월부터 지난 2월까지 투자사기나 로맨스 스캠(연애 빙자 사기) 조직으로부터 의뢰받은 범죄 수익금 100억 원 상당을 상품권 거래를 가장해 자금 세탁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조직원 10명 명의로 상품권 사업자 등록을 한 뒤, 각각 개설한 상품권 거래용 개인사업자 계좌 10개를 이용해 범죄 수익금을 이체받았다. 이후 서울 시내 주요 은행 43곳을 돌며 정상적인 상품권 매매대금인 것처럼 현금이나 수표로 인출해 A씨와 B씨에게 전달했다.
 
경찰은 이들이 상품권 거래로 거액의 자금을 자주 입출금하는 상품권 업체의 특성을 범행에 이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상품권 업체는 매입에 대비해 현금을 많이 보유해야 해 거액을 인출하는 경우가 많다. 상품권 업체 사업자 계좌이다 보니 의심 없이 큰 금액 출금이 가능했다"며 "서울에서는 상품권 거래가 많이 이뤄지다 보니 의심을 피해 거액을 출금하는 수단으로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허위 상품권 계좌를 이용해 투자사기 등 100억 원대 범죄 수익금을 자금 세탁한 조직이 경찰에 붙잡혔다. 부산경찰청 제공허위 상품권 계좌를 이용해 투자사기 등 100억 원대 범죄 수익금을 자금 세탁한 조직이 경찰에 붙잡혔다. 부산경찰청 제공 총책 A씨는 인출 금액의 0.8%~1%에 해당하는 돈을 조직원들에게 수당으로 지급했고, 자금세탁을 의뢰한 조직이 보낸 인물들에게 나머지 현금을 직접 건넸다. 경찰은 이들이 자금세탁 수수료로 10억 원 이상의 수익을 챙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들은 A씨의 지시 아래 조직적으로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A씨는 고향 후배인 B씨를 통해 범죄 수익금을 인출할 조직원들을 포섭한 뒤 서울에 숙소 4곳을 마련해 행동강령을 두고 조직을 운영했다. 경찰 수사에 대비해 조직원들에게 진술 방법을 미리 교육하거나 증거 인멸을 지시하기도 했다.
 
경찰은 앞서 투자자 20명을 허위 증권 거래 사이트에 가입시켜 6억 원 이상을 가로챈 사기 사건을 수사하다가 피해금이 사업용 상품권 계좌로 이체돼 출금된 것을 확인했다. 이후 A씨 조직을 수사한 끝에 순차적으로 검거했다.
 
경찰 관계자는 "이들에게 범죄수익금 세탁을 의뢰한 투자사기 조직 등에 대한 수사도 이어가고 있다"며 "피싱범죄 수법이 날로 진화하고 있어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범죄로 의심되는 경우 주저 없이 경찰에 신고 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부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