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톤 대회 이틀 앞두고…주최 측 잠적해 경찰 수사

마라톤 대회 이틀 앞두고…주최 측 잠적해 경찰 수사

"참가비 냈으나 연락 안 돼" 진정서 접수
웹사이트엔 대회 개최 안내 버젓이
개최 예정지 허가 절차도 밟지 않아
과거에도 부실 운영·미환불 등 논란 빚어

참가비만 받은 채 잠적했다는 논란이 불거진 부산의 한 마라톤대회 홈페이지에 접수가 마감됐다는 공지가 떠 있다. 해당 대회 홈페이지 캡처참가비만 받은 채 잠적했다는 논란이 불거진 부산의 한 마라톤대회 홈페이지에 접수가 마감됐다는 공지가 떠 있다. 해당 대회 홈페이지 캡처부산에서 마라톤대회를 주최한 단체가 참가비만 받고 잠적했다는 내용의 진정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이 단체는 대회를 열겠다고 예고한 장소 사용 허가도 내지 않은 상태인데, 과거에도 부실한 운영과 미환불 논란이 일었던 곳으로 드러났다.
 
부산 서부경찰서는 '마라톤 대회 주최 측이 참가비를 받고도 연락이 닿지 않는다'는 내용의 진정서를 접수해 수사에 착수했다고 31일 밝혔다. 진정서는 지난 29일 접수됐으며, 경찰은 진정인 조사를 시작으로 주최 측 관계자에 대한 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경찰에 따르면 주최 측은 다음 달 2일 부산 대저생태공원에서 마라톤 대회를 열겠다며 참가자를 모집했다. 10㎞ 코스 기준 참가비는 1인당 3만 5천 원으로, 모집 인원은 5천 명에 달한다. 온라인 웹사이트에는 여전히 마라톤 대회를 개최한다는 공지글이 게시돼 있고, 참가 신청이 마감됐음을 알리는 팝업창도 버젓이 띄워져 있다. 하지만 대회 이틀을 앞둔 현재까지 참가자에게 배번표나 기록용 인식 칩이 발송되지 않았고, 연락도 닿지 않는 상태다.

부산 서부경찰서 관계자는 "현재 접수된 진정 내용을 확인하고 있다. 추가 피해 여부를 포함해 전반적인 경위를 들여다 보고 있다. 참가비 입금 계좌 등을 토대로 주최 측에 대한 수사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주최 측은 개최 예정지에서 대회를 여는 데 필요한 허가 절차도 밟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대저생태공원을 관리하는 부산시 낙동강관리본부에 따르면, 주최 측은 현재까지 공원 이용 허가와 하천점용허가 등을 받지 못한 상태다. 행사계획서, 안전관리계획서는 아예 제출조차 하지 않은 상태다.
 
부산시 낙동강관리본부 관계자는 "(허가) 신청도 접수되지 않았고, 연락도 닿지 않고 있다"며 "지금 접수하더라도 부서별로 검토가 필요해 사실상 허가가 불가능한 상태다. 더군다나 오는 5일 전국장애인체전 마라톤이 대저생태공원에서 예정돼 있어 행사장 설치와 정비 작업 등이 이뤄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문제가 된 마라톤 대회 주최 측은 과거에도 부실한 대회 운영 등으로 도마에 올랐다. 지난해 4월 대회에서는 안전관리 미비, 후원사 명의 도용 등 문제로 잡음이 일었다. 특히 대회장에는 선수들이 마실 물조차 준비해두지 않으면서 참가자들이 환불을 요구하기도 했다.

지난 5월에는 마라톤 대회를 열겠다며 참가자 수백 명을 모집했지만, 관할 기관으로부터 허가를 받지 못하면서 돌연 취소한 후 참가비를 환불해주지 않은 채 잠적해 논란을 빚었다. 당시 부산시 낙동강관리본부는 안전관리 미흡과 준수사항 미이행, 미숙한 행사 운영으로 인한 집단 민원 발생 등을 이유로 행사를 불허했다.

취재진은 주최 측 해명을 듣기 위해 접촉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부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