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매수 미공개정보 이용 흐름도.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제공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로 꾸려진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이 28일 NH투자증권 본사 임원실과 공개매수 관련 부서를 압수수색했다. 합동대응단은 NH투자증권의 한 고위 임원이 최근 2년간 자사가 주관한 11개 종목의 공개매수 정보를 공표 전에 지인 등에게 전달해 약 20억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취하게 한 혐의를 수사 중이다.
공개매수는 경영권 확보 등을 위해 일정 기간 주식을 대량 매입하는 절차로, 통상 주가 상승을 유발하는 '호재성 정보'로 분류된다. 자본시장법은 이런 정보의 사전 이용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조사 결과, 해당 임원은 직장 동료와 지인들에게 반복적으로 미공개 정보를 전달했다. 이들은 발표 전 주식을 사들여 주가 상승 후 매도하는 방식으로 이익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친인척 명의의 차명계좌가 동원되고, 거래 자금이 오간 정황도 포착됐다.
금감원은 공개매수 전후 비정상 거래 정황을 포착해 금융위에 통보했고, 합동대응단이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직접 수사에 나섰다. NH투자증권은 최근 3년간 전체 공개매수 건수의 절반 이상을 주관해 온 주요 증권사로, 내부통제 부실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합동대응단은 "정보 우위를 이용한 미공개정보 거래는 주가조작에 준하는 중대 범죄"라며 "시장감시 사각지대에 있는 금융회사 임직원 등에 대해서도 조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