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질 빚은 '해운대 빛축제', 올해도 같은 업체…사후 관리는 '전무'

차질 빚은 '해운대 빛축제', 올해도 같은 업체…사후 관리는 '전무'

제12회 해운대 빛축제 우선협상자 대상자 선정 '잡음'
지난해 차질 빚은 업체, 또다시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
해운대구, 축제 운영자 선정 과정서 다수 오류도 적발돼
"사후 제재 등 조치 취했어야" 비판 목소리

지난해 제11회 해운대빛축제가 열리고 있는 해운대구 구남로 일대에 보완 공사가 이뤄지고 있다. 김혜민 기자지난해 제11회 해운대빛축제가 열리고 있는 해운대구 구남로 일대에 보완 공사가 이뤄지고 있다. 김혜민 기자부산을 대표하는 축제인 '해운대 빛축제'가 또다시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해 운영 과정에서 잇따른 차질을 빚었던 업체가 올해도 또다시 1순위 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서 해운대구의 사업 관리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20일 부산 해운대구에 따르면 올해 11월 말 해운대해수욕장과 구남로 일대에서 열리는 '제12회 해운대 빛축제'를 대행할 우선협상 대상자가 선정돼 구체적인 협상 절차가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해운대구는 지난 6월 빛축제 행사대행 용역 입찰공고를 내고 업체 선정 절차를 밟아왔다. 올해는 4개 업체가 경쟁해 최근 우선 협상 대상자가 선정됐는데, 문제는 지난해 운영 차질로 논란이 됐던 업체가 올해 또다시 1순위 계약 협상 대상자로 선정됐다.
 
지난해 빛축제는 부산시 지원으로 당초 8억 원에서 17억 원 규모로 예산이 대폭 확대되면서 기대를 모았지만, 점등일이 일주일가량 미뤄지고 점등 후에도 조명이 꺼지는 등 어수선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당초 제안서와 실제 축제 내용에도 차이가 커 인근 상인과 주민, 구의회 등 구청 안팎에서 비판이 거셌다.
 
올해 입찰은 '협상에 의한 계약 낙찰자 결정 기준'에 따라 정량·정성·가격 평가 등을 거쳐 진행됐다. 통상 정량평가는 전문참여 인력 수와 신임도 등 항목에 점수를 매기다 보니 기업 규모가 클수록 유리하다. 정성평가는 외부 평가위원들이 창의성과 디자인 등을 기준으로 평가되는 만큼 업체 측 제안서와 프레젠테이션 발표에 의해 좌우된다.
 
결국 지난해 준비 미흡으로 비판을 받은 업체가 올해도 또다시 높은 점수를 받아 선정된 건데 이 때문에 업체 선정 결과를 두고 벌써부터 뒷말이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해운대구가 부적격자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했다는 부산시 감사 결과도 나오면서 업체 선정 과정 전반에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시 감사 결과를 보면 해운대구는 2020년 11월 이후부터 지방계약법에 따른 계약 업무 과정에서 정량평가 시 불명확한 용역 실적을 인정하고 정성평가 시 위원 평가 점수를 잘못 옮겨적었다. 또 당초 공고한 평가기준과 다르게 실제 평가 시 배점 기준을 임의로 변경하는 등 부적절하게 처리한 사실이 다수 적발됐다.

이밖에 지방계약법에 따라 협상에 의한 계약 시 제안서 평가위원회에 타 지자체 공무원 등 관련 분야 전문가를 7인 이상으로 구성해야 함에도 내부 공무원 1~2명을 평가위원회에 포함하고 최소 인원 7인 미만으로도 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규칙을 위반한 사실도 드러났다.
지난해 제11회 해운대빛축제 개막 당시 구남로에서 보완 공사가 진행된 모습. 김혜민 기자지난해 제11회 해운대빛축제 개막 당시 구남로에서 보완 공사가 진행된 모습. 김혜민 기자 해운대구는 올해 내부 직원을 평가위원회에 포함시키지 않는 등 업체 선정 과정 전반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했다는 입장이다. 다만 구청이 개입할 수 없는 정성평가 등이 포함되다 보니 해당 업체가 또다시 선정되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전했다.
 
부산 해운대구청 관계자는 "시 감사 결과에 따라 올해는 제안서 평가위원회도 모두 외부 전문가로 꾸렸다"며 "정성평가는 블라인드 방식으로 진행돼 마음에 드는 제안서가 있어도 고를 수 없고 어떤 업체가 선정될지는 결과가 나와봐야 알 수 있다. 구 차원에서도 답답한 측면이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특혜 시비가 있으려면 큰 점수 격차를 억지로 뒤집어야 하는데 업체 간 점수 차도 적었다. 정량평가는 1등과 4등 간 점수 차가 1.5점에 불과했고 정성평가도 점수 차가 8점이었다"면서 "지난해 준비 시간이 부족해 미흡한 부분이 있었던 만큼 올해는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서둘러 협상 등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해명에도 구청이 운영 부실에 대한 사후 제재 등을 통해 역량 있는 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양미숙 부산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지난해 축제가 차질을 빚어 논란이 됐다면 입찰 참가자격을 정하거나 평가점수 비율을 조정하고 논란이 된 업체에 페널티를 부여하는 등 적극적인 사후 조치를 진행했어야 한다"며 "공공재를 이용하고 혈세를 투입하는 사업임에도 개선 노력이 전무한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부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