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행' 해운대페스타, 결국 구청-운영사 협약 해지…책임 공방

'파행' 해운대페스타, 결국 구청-운영사 협약 해지…책임 공방

해지 사유는 무대 정상화 위한 시정 요구 미이행 등
'전대' 행위 두고는 해운대구청-운영사 간 입장 엇갈려
이달 말까지 푸드트럭·체험존 등은 지속 운영

부산 해운대페스타 무대 운영이 중단된 채 시설만 덩그러니 놓여 있다. 김혜민 기자 부산 해운대페스타 무대 운영이 중단된 채 시설만 덩그러니 놓여 있다. 김혜민 기자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열리고 있는 '해운대 페스타' 운영 차질이 장기화하면서 해운대구는 결국 민간사업자와의 협약을 해지했다. 파행 논란을 결국 수습하지 못하면서 구와 운영업체 간 책임 공방이 빚어지는 모양새다.
 
부산 해운대구는 해운대해수욕장에서 열리고 있는 '해운대 페스타' 운영이 정상화되지 않으면서 결국 운영사 측과 협약을 해지했다고 18일 밝혔다.
 
해운대구에 따르면 이번 협약 해지 사유에는 운영사 측의 무대 정상화를 위한 시정 요구 미이행과 관리·감독 의무 미이행, 전대 금지 위반 등이 포함됐다.
 
앞서 해운대구는 해운대 페스타가 파행 논란을 빚자 남은 축제기간 행사를 잘 마무리할 수 있도록 운영업체에 운영 정상화 방안 제출을 요구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서왔다.

이에 운영사로부터 관련 계획을 제출받았다. 계획서에는 기존 무대 철거와 신규무대 운영, 현장 운영본부 상주 등 내용이 담겨 있었지만 이후에도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는 게 구청 설명이다.
 
또 사업 운영 과정에서 무상으로 빌린 해변을 다시 돈을 주고 재임대하는 이른바 '전대' 행위가 있었던 것으로 구청은 보고 있다. 해운대구는 운영사업자 공고와 협약서 등을 통해 전대를 포함해 수탁받은 사업을 제3자에게 대행하거나 양도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해운대구 관계자는 "해지 사유는 하나만 있어도 협약 해지가 가능하다. 주된 해지 사유는 무대 운영 중단에 대한 정상화 시정 요구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지만 이외에도 관리·감독 미이행과 전대 행위 등도 해지 사유에 포함됐다"고 말했다.
 
이어 "업체들 간 계약서 등을 확인한 끝에 전대 행위가 있었다고 보고 있다. 운영사 측과 법리적인 해석이나 주장은 서로 엇갈리는 상황"이라며 "운영사와의 협약은 해지했지만 남은 행사 기간 동안 해당 구역으로 관광객을 모을 수 있는 방안을 찾겠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민간운영사 측은 '전대' 행위를 하지 않았고 무대 운영 중단 사태에 대해서는 운영 업체는 따로 있다는 입장이다.
 
운영사인 대학가요제조직위원회 관계자는 "푸드트럭·편의점 등에 대한 운영권이 운영사에 있고 광고도 대행할 수 있도록 돼 있다. 구 해수욕장협의회 심의를 통해 판매 품목과 가격도 다 허가받았다"며 "전대 행위를 하지 않았다"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전대행위를 한 건 타 업체다. 운영사에서는 푸드트럭 업체 1곳과 계약을 맺었고 나머지 9대는 해당 업체에서 자체 운영했다"며 "무대 설치와 운영 역시 별도의 업체가 맡고 있는데 해당 업체에서 계약 내용을 이행하지 않고 철수하는 바람에 발생한 일로 운영사도 피해가 크다"고 주장했다.
부산 해운대페스타 축제장에 마련된 강철부대 체험 공간이 한산한 모습. 김혜민 기자 부산 해운대페스타 축제장에 마련된 강철부대 체험 공간이 한산한 모습. 김혜민 기자  한편 '해운대 페스타'는 해운대해수욕장을 찾는 시민들이 이색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마련된 행사 겸 축제로, 해운대구가 백사장 일부 구간을 민간사업자에게 무상으로 빌려주고 사업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열리고 있다.

하지만 저조한 관심 속에 지난달 22일부터 워터밤과 디제잉 파티 등 일부 프로그램이 당초 계획된 운영 횟수를 채우지 못한 채 취소되면서 관광객은 물론 입점업체 상인 등을 중심으로 불만이 이어졌다. 해운대구는 소상공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운영사와의 계약을 해지한 것과 별개로 이달 말까지 푸드트럭과 편의점, 강철부대 체험존을 운영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부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