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공회의소가 지역 내 중견기업 후보군을 대상으로 인식도 조사를 실시했다. 부산상공회의소 제공부산 지역 강소기업들은 중견기업 진입 시 기업 이미지 개선과 신뢰도 향상을 기대하는 반면 각종 혜택 축소에 대해서는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는 5일 중견기업 매출액 기준의 70% 이상을 달성한 지역 내 중견기업 후보기업 116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부산지역 강소기업의 중견기업 도약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관련해 업종별 중견기업 진입 매출액 기준은 운수업·정보통신업 1천억원, 건설업·도소매업·제조업 1200억원, 1차금속·전기장비 등 일부 제조업 1800억원 수준이다.
지역 내 중견기업 후보 116개사의 업종별 분포를 살펴보면 제조업이 48개사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업 38개사, 건설업 18개사, 운수·창고업 8개사 등의 순이었다.
이들 기업은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면 기업 이미지 개선과 신뢰도 향상을 가장 큰 기대요인으로 꼽았다.
구체적으로는 응답 기업의 절반가량인 48.8%가 '기업 신뢰도 및 이미지 향상'을 기대했고, '자금 조달 및 투자유치' 30.2%, '대기업·공적기관 등 협력 확대' 18.6%, '우수 인재 확보 용이' 1.2%,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 확대' 1.2% 등이었다.
반면, 지역 내 강소기업은 중견기업 진입에 따른 기대보다 부담이 크다고 답했다. 응답기업의 절반이 넘는 63.9%가 다소 부담 또는 매우 부담스럽다고 했다. 전혀 부담되지 않는다는 기업은 14%에 불과했다.
중견기업 진입 시 가장 부담되는 사항은 '세제 혜택 축소'였다. 응답 기업의 57%가 '세제 혜택 축소'를 꼽았고, '공공조달시장 참여 제한' 15.1%, '노동·환경·안전 등 규제 부담 증가' 12.8%, '정책금융 축소' 8.1%, '해외 판로 지원 축소' 4.7%, '인재확보 및 고용 지원 축소' 2.3% 등의 순이었다.
이 같은 응답은 지역 기업의 주요 판로인 공공조달시장에서 중소기업은 관련법에 따라 우선구매, 제한 경쟁 등의 혜택을 받지만 중견기업은 입찰 참여가 제한되고 수의계약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또, 중견기업의 경우 노동·안전·환경 등 전 분야에서 강도 높은 규제와 의무가 주어지는 반면 기업 부담에 대한 정책적 완충 장치는 중소기업에 비해 크게 줄어드는 점 또한 주된 부담 요인으로 나타났다.
후보기업들은 중견기업으로의 성장을 위해 세제 지원 확대 등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을 주문했다.
응답기업의 60.5%는 '세제 지원 확대'를 원했고, '정책 자금 및 금융 지원 강화' 31.4%, '노동·안전·환경 등 규제 완화' 5.8%, '연구개발(R&D) 및 기술 혁신 지원 확대' 1.2%, '중소기업 졸업 유예 기간 확대' 1.2% 순이었다.
부산상공회의소 조사연구팀 관계자는 "중견기업 성장에 이르기까지 20년 이상이 소요되는 만큼 장기적인 시각에서 후보기업들의 중견기업 진입을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