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핵심 공약이었던 HMM 본사 부산 이전이 국정과제 최종안에 포함됐다. HMM 제공국정위, HMM 부산 이전 '확정'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핵심 공약이었던 HMM 본사 부산 이전이 국정과제 최종안에 포함됐다. 해양수산부 연내 이전에 이어 국내 최대 해운기업의 본사까지 옮기는 계획이 추진되면서 부산의 해양 공약 실현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지역에서는 이전 동력을 뒷받침할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다시 힘을 얻고 있다.CBS 종합취재 결과, 국정기획위원회는 최근 HMM 본사 이전을 담은 국정과제 최종안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이는 이 대통령이 대선 기간 부산 유세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공약 발표 등에서 수차례 강조했던 '부산 지역 내 100대 기업 유치' 계획의 핵심이다.
이번 최종안에는 해양수산부 이전을 비롯해, 산하기관·공공기관 출자 기업의 최대한 빠른 부산 이전 방안이 함께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 관계자는 "부산을 해양수도로 만들겠다는 대통령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며 "북극항로 전진기지와 글로벌 해운 거점 육성 전략의 일환으로 HMM 이전이 추진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열린 부산 타운홀미팅에서 해수부와 HMM 이전, 관련 기관 이전을 강조했다. 연합뉴스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5월 부산 유세에서 "정부 지분이 70%를 넘는 HMM의 본사 이전을 정책으로 추진하겠다"고 공언했고, 지난달 부산에서 열린 타운홀 미팅에서도 전재수 해수부 장관과 함께 HMM 이전을 재차 강조했다.
부산, 이전 동력 확보 목소리 재부상
HMM 본사 이전이 국정과제에 공식 반영되면서, 지역에서는 제도적 뒷받침 필요성이 다시 부각된다.
부산상의를 비롯한 부산 경제계는 행정·금융 지원을 담은 '글로벌 해운도시 특별법' 제정 등으로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꾸준히 내왔다.
특히 글로벌 10대 해운사 중 7곳이 항구도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점을 근거로, 부산의 입지적 장점에 제도적 지원이 더해지면 국내 해운사들의 이전을 유도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노조·경영 효율 논란은 과제
다만 HMM 본사의 '관외 이전'은 노조 반발과 경영 효율 논란이라는 숙제를 안고 있다.
HMM 육상 노조는 대통령 당선 직후 "상장사의 자율성을 훼손하는 정치적 압박"이라고 반발했으며, 업계에서는 글로벌 사업 특성상 본사 이전이 경영 효율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국정위는 HMM 이전의 세부 시기와 방법은 아직 확정하지 않았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구체적 실행 방안 없이 속도전에 나설 경우, 지방선거용 공약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는 신중론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