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대포 낙조 분수쇼 인파에도 '교통통제' 없었다…6살 참변

다대포 낙조 분수쇼 인파에도 '교통통제' 없었다…6살 참변

다대포 인근 도로서 6세 교통사고로 숨져
'분수쇼' 끝난 직후 인파 몰렸지만…교통 통제 인력 없어
안전관리 미흡 지적 일자…사하구 "보완하겠다"

다대포 낙조분수쇼. 연합뉴스다대포 낙조분수쇼. 연합뉴스지난 주말 부산 다대포에서 '낙조 분수쇼'가 끝난 직후 횡단보도를 건너던 6세 남아가 승합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난 뒤, 지자체의 안전 관리가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분수쇼가 인기를 끌며 평소 많은 인파가 몰렸지만 현장에 교통 통제 인력이 없었던 데 더해, 구청의 안전관리 계획에는 관련 내용조차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2일 오후 8시 30분쯤 부산 사하구 다대포해수욕장 인근 횡단보도를 건너던 6살 A군이 승합차에 치였다. A군은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을 거뒀다.
 
이 횡단보도에는 신호등이 없었다. A군은 혼자 유아용 킥보드를 타고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었다. 승합차 운전자는 경찰 조사에서 "A군을 보지 못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발생 시각은 오후 8시 다대포해변공원에서 열리는 '꿈의 낙조분수 음악쇼'가 끝난 직후여서 일대가 매우 혼잡했다. 사하구 시설관리사업소에 따르면 이날 분수쇼에는 1천여 명의 인파가 몰린 것으로 추산된다. 분수쇼 관람을 마치고 나오는 인파와 차량에 더해, 주말 저녁 다대포해수욕장을 찾은 관광객까지 뒤엉켜 일대는 매우 복잡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현장 일대 혼잡을 정리할 교통 관리 인력은 배치되지 않았다. 이는 사하구가 올해 낙조분수 운영 안전관리계획을 세우면서 교통 통제 계획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하구에 따르면 안전관리 계획은 분수대 광장 내부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세워졌다. 안전 관리계획을 검토하고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안전심의위원회는 개최하지 않았고, 경찰이나 소방 등 관련 기관에 협조 요청 또한 이뤄지지 않았다.

부산 사하구청. 부산 사하구 제공부산 사하구청. 부산 사하구 제공현행법은 지자체가 주최하거나 주최자가 불분명한 지역 축제 등 행사에서 안전 관리는 지자체의 의무라고 명시하고 있다.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과 시행령을 보면, 축제 기간 중에 순간 최대 관람객이 1천명 이상 모일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축제를 개최할 때는 지자체장이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안전관리에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한다. 또 행정안전부의 '지역축제장 안전관리 매뉴얼'은 참여 인원이 많지 않더라도 일시적으로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면 교통 통제 인력을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사하구는 분수쇼가 기존에 설치한 시설물을 운영하는 차원이어서 지역 축제로 인식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광안리 드론·레이저쇼'를 매주 여는 수영구는 지역 축제라는 명칭을 붙이지 않는 행사인데도 안전관리계획에 인파가 많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공연을 펼칠 경우 교통 통제 인력을 배치한다는 내용을 담았고, 심의도 열고 있다.
 
지적이 잇따르자 사하구는 일대 도로에 대한 안전 관리 보강 대책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부산 사하구 관계자는 "이번 사고 이후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에 안전 요원을 배치하고, 속도 제한을 위한 도로 시설물을 설치하는 등 전반적으로 안전 관리를 보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부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