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녹색연합과 부산환경운동연합, 습지와새들의친구가 10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낙동강하구 국가도시공원 지정 반대 및 세계자연유산 등재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부산환경운동연합 제공 부산지역 환경단체들이 낙동강 하구의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반대하며 세계자연유산 등재를 촉구하고 나섰다.
부산녹색연합과 부산환경운동연합, 습지와새들의친구는 10일 오전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낙동강 하구는 국가도시공원이 아니라 세계자연유산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부산시가 추진 중인 낙동강 하구 을숙도·맥도생태공원 일대의 국가도시공원 지정 계획에 대해 깊은 우려와 단호한 반대 입장을 밝힌다"며 "이는 세계적인 자연유산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부산시는 해당 지역의 제1호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위해서는 공원 부지의 소유권 확보와 300만㎡ 이상의 면적, 공원 관리 조직의 구성 등의 요건을 갖춰야 한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낙동강 하구의 생태 기능 유지에 핵심 역할을 하는 지역을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하면, 대형 시설 조성과 방문객 증가로 생태계가 기능을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하며 이를 반대하고 있다. 또 이미 조성된 생태공원 지역을 이름만 바꿔 도시공원으로 지정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지역에 공원을 확충하는 것과는 거리가 먼 일이라고 지적한다.
이들은 "낙동강 하구 철새도래지는 난개발로 규모가 줄어들었고, 대저대교와 엄궁대교 건설로 육지 쪽 마지막 핵심 생태계도 훼손되고 있다"며 "국가도시공원 지정 역시 생태 보전이 아닌 개발과 이용에 비중을 두고 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을숙도와 맥도생태공원 일대는 세계가 주목하는 자연생태계의 보고이자 한국 최고의 철새도래지로,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돼야 한다"며 "국가도시공원은 생태계 핵심 구역이 아닌 도심 내 일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둔치도나 대저·화명생태공원에 조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