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자매 참변에 부산 시민단체 "돌봄 시스템 전면 개편해야"

잇단 자매 참변에 부산 시민단체 "돌봄 시스템 전면 개편해야"

2일 부산 기장군 아파트 불…8·6살 자매 숨져
부산진구 개금동 화재처럼 부모 집 비운 사이 불
지역시민단체 "보이지 않는 돌봄 공백 메워야"

지난 2일 화재가 난 부산 기장군의 한 아파트 외벽 등이 검게 그을린 모습. 김혜민 기자지난 2일 화재가 난 부산 기장군의 한 아파트 외벽 등이 검게 그을린 모습. 김혜민 기자부산에서 부모가 잠시 집을 비운 사이 화재로 어린 자매가 숨지는 사고가 잇따르면서 부산지역 시민단체가 공공 돌봄 시스템을 전면 개편하는 등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건강사회복지연대는 9일 성명을 내고 "부산시 등 관계기관은 화재 참사로 드러난 돌봄 공백을 해결할 공적 돌봄 시스템을 전면 재구축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지난 8일간 네 명의 아이들이 차가운 주검으로 돌아왔다. 부산시는 이 비극을 단순 화재 사고로 축소해서는 안 된다"라며 "이면에는 '보이지 않는 돌봄 공백'이라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실패가 자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모가 새벽 청소 등을 위해 집을 비워야만 했던 시간에 화재가 발생했다. 비극의 분질이 어디에 있는지 명확히 보여준다"며 "참사 후 부산시가 내놓은 '24시간 아이돌봄 확대', '노후 주택 소방 점검' 등 표피적 대책으로는 결코 해결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교육청의 늘봄센터와 여성가족부의 아이돌봄서비스, 부산시의 365 열린 시간제 어린이집 등 파편화된 현행제도는 서로의 틈을 메우지 못했다"며 "현재 부산의 돌봄 시스템이 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지에 대해 부산시는 되묻고 반성해야 한다"도 지적했다.
 
그러면서 "새벽과 야간, 주말 등 비정형 시간대 노동자들이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부산시는 긴급 돌봄의 문턱을 낮추고 돌봄 노동자에 대한 합당한 처우 개선을 통해 안정적인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실효성 있는 정책을 수립하라"고 전했다.
 
앞서 지난 2일 부산 기장군 기장읍의 한 아파트에서 불이 나 8살과 6살 난 자매가 끝내 숨졌다. 8일 전인 지난달 24일에는 부산진구 개금동 아파트 화재로 10살과 7살 자매가 참변을 당했다. 두 화재 사고 모두 부모가 일터에 가는 등 잠시 집을 비운 사이 발생하면서 지역에서는 부산시 등 관계기관의 돌봄 시스템에 대한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부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