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를 줄이면 일자리가 생긴다" … '우리동네 ESG센터' 주목

"쓰레기를 줄이면 일자리가 생긴다" … '우리동네 ESG센터' 주목

핵심요약

지역·환경·노인을 연결한 국내 최초 시도… 제도화 필요성 제기
박희용 부산시의원 "협의체 구성으로 협력 생태계 마련해야"

박희용 부산시의원. 부산시의회 제공박희용 부산시의원. 부산시의회 제공지역 환경과 노인 일자리를 잇는 '우리동네 ESG센터'가 새로운 공공일자리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22일 부산시의회에따르면, 전날 부산대학교에서 열린 세미나에서는 센터 운영 성과와 과제, 제도화 방안 등이 공유되며, 향후 확산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히 이뤄졌다.

지역과 노인을 잇는 'ESG센터' 실험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50+신중년연구센터와 사회복지학과 BK21 교육연구단 주관으로 개최된 이번 세미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개념을 바탕으로 지역기반 공공일자리의 가능성을 점검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좌장은 부산대 이기영 교수가 맡았으며, 박희용 부산시의원을 비롯해 각 ESG센터 책임자 및 부산시 실무자들이 참석해 운영 사례를 공유하고 제도적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공공일자리의 자립 가능성 실험 중

세미나에서 박희용 의원은 "ESG센터는 단순한 노무 활동이 아니라, 자원순환과 환경교육을 접목한 사회적 가치 기반의 일자리 모델"이라며 "공공일자리의 자립 가능성을 실험 중"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지난 4월 박 의원이 발의한 「부산광역시 ESG센터 관리 및 운영 조례」를 통해 제도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제도화를 위한 개선 과제 제시

이번 세미나에서는 ESG센터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인 과제도 제시됐다.

△재정 안정성 확보 △현실적인 체험 프로그램 개발 △시니어클럽, 사회적기업, 행정 간의 통합 거버넌스 구축 △각 센터 특성에 맞춘 특성화 전략 등이 주요 내용이다.

또한 센터 간 독립 운영을 위해 모델 표준화와 컨설팅 체계 마련, '우리동네 ESG센터 협의체' 구성을 통해 상호협력 구조를 제도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전국 확산 위한 제도 기반 마련 강조

박 의원은 "이번 논의를 부산시의회 차원에서도 후속 검토할 계획"이라며 "ESG센터가 전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적 기반을 더욱 단단히 다지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역사회와 어르신의 삶을 연결하는 지속가능한 일자리 정책을 위해 의정활동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부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