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중앙선대위 산하 해양수산위원회(위원장 최인호)는 20일 오후 부산시의회에서 '해양수산인 1천인 지지 선언식'과 '해양수산부 기능 확대 토론회'를 연속 개최했다. 강민정 기자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공약을 뒷받침하기 위한 해양수산계의 대규모 지지 선언과 정책 토론회가 20일 부산시의회에서 잇달아 열렸다. 이날 행사에서는 해양수산인 1천여 명이 공개 지지를 선언했으며, 조선기자재 산업 등 지역산업과 연계한 해수부 기능 확대 방안도 심도 있게 논의됐다.해양수산계 "이재명 후보가 해양수도 비전 실현할 적임자"
더불어민주당 중앙선대위 산하 해양수산위원회(위원장 최인호)는 20일 오후 부산시의회에서 '해양수산인 1천인 지지 선언식'과 '해양수산부 기능 확대 토론회'를 연속 개최했다.
지지 선언식에는 최인호 위원장과 함께 임기택 전 국제해사기구(IMO) 사무총장, 강준석 전 해양수산부 차관 등이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참석자들은 "해양수도 부산이라는 꿈이 이제는 현실이 되고 있다"며 "이재명 후보가 해양수산 정책을 실현할 적임자"라고 입을 모았다.
선언문은 한일냉장 오종수 대표가 낭독했으며, 해수부 부산 이전에 대한 부산 해양업계의 기대와 열망이 고스란히 담겼다.
"해양수산부 확대, 지역경제 체질 바꿀 기회"
이어 열린 '해양수산부 기능 확대 토론회'에서는 부산 이전이 단순한 청사 이전을 넘어 지역 주력 산업과의 연계 발전 방안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중앙선대위 산하 해양수산위원회는 20일 오후 부산시의회에서 '해양수산인 1천인 지지 선언식'과 '해양수산부 기능 확대 토론회'를 연속 개최했다. 사진은 발언하고 있는 임기택 전 국제해사기구(IMO) 사무총장. 강민정 기자최인호 위원장은 "해수부 부산 이전은 관련 공공기관 이전뿐 아니라 세계적 해운기업인 HMM 본사 유치 등 파급 효과가 크다"며 "조선기자재 산업의 실질적 지원 기능까지 가져오면 부울경 경제 활성화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일 부산시의회에서 열린 '해양수산부 기능 확대 토론회'. 강민정 기자기조 발제를 맡은 임기택 전 IMO 사무총장은 "부산의 해운조선산업은 기술 패러다임의 세기적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며 "부산이 로테르담이나 싱가포르를 능가하는 블루이코노미(해양자원을 활용한 경제성장) 중심지로 도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앙대 우수한 교수는 "해양 기능이 여러 부처에 분산돼 시너지 효과에 한계가 있다"며 해양정책의 통합과 대통령 직속 위원회 설치를 제안했고, 영산대 오창호 교수는 "해수부 이전이 부산을 해양관광과 마이스 중심 도시로 이끌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 "해수부, 해양산업 주무부처로 승격해야"
이날 토론에 나선 동의대 조삼현 교수는 "신조선 해양플랜트, 선박금융, 수리조선 등 해운과 직접 연계된 기능은 해수부로 일원화돼야 한다"고 주장했고, 신오균 전 대우조선해양 전략본부장은 "해수부를 단순한 행정기관이 아닌 해양정책의 테스트베드(시험대)로 삼아야 하며, 필요하다면 국토교통해양부로의 재편도 논의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해양수산계 인사들과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해, 해수부 이전을 향한 지역사회의 높은 기대감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는 자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