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황령산 정상부에 추진하는 대형 전망대 조감도. 대원플러스건설 제공'부산의 허파'로 불리는 황령산 정상에 고층 전망대와 케이블카를 짓는 사업이 최종 허가 수순에 들어가면서, 환경파괴 등을 우려하는 지역 시민사회 반발도 더욱 거세지고 있다.
부산경실련 등 지역 시민단체로 구성된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는 30일 오전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민 대다수가 모르는 황령산 개발 사업을 전면 백지화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황령산 개발 사업은 황령산 생태계를 심각하게 파괴하고 도시 경관을 훼손하며 시민들의 휴식 공간을 빼앗는 행위다. 특히 황령산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봉수대가 위치한 곳"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정상부에 설치될 24층 전망대는 방송사 송신탑보다 높아 전파방해 우려가 여전하지만, 부산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실시계획인가 열람 공고를 먼저 진행하는 등 사업을 서두르고 있다"며 "안전과 관련해서도 민간사업자가 제안한 대책만으로 충분히 확보됐다고 보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부산시는 해당 사업이 얼마나 경제성이 있는지, 환경영향평가는 제대로 이뤄졌는지 등에 대해 제대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부산시는 사업을 전면 중단하고 공개적인 논의를 통해 지속 가능한 황령산 보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가 30일 오전 부산시청 앞에서 황령산 난개발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김혜민 기자'황령산 개발 사업'은 산 정상부에 118m 높이의 전망대를 비롯해 부산진구 전포동 황령산레포츠공원과 전망대를 잇는 549m 길이의 케이블카(1단계), 푸드코트 등 복합 관광시설을 짓는 민간개발 사업이다.
민간사업자는 여기에 더해 지난 2월 케이블카를 남구 스노우캐슬까지 연장하는 2단계 조성계획 변경 신청도 해둔 상태다. 해당 케이블카는 2.2㎞ 길이로 기존 1단계 구간의 4배에 달한다. 1·2단계 케이블카가 모두 완공되면 부산에서 가장 긴 케이블카가 된다.
부산시는 지난 16일부터 전날까지 1단계 사업에 대한 실시계획 인가안을 열람 공고해 시민 의견을 제출받았고, 최종 인가를 검토하고 있다. 실시계획 인가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최종 승인 단계로, 인가가 나면 6개월 이내에 사업에 착수할 수 있다. 2단계 조성계획 결정 변경안은 지난 23일부터 열람 공고를 진행 중이며 다음 달 7일까지 이뤄진다.
부산시는 제출받은 의견을 검토해 특별한 내용이 없으면 사업을 최종 인가한다는 입장이다. 또 환경영향평가에서 보완 요청이 있었던 방송사 전파방해 문제도 방송국과 협의하고 있는 단계라고 전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실시설계 인가안은 제출받은 의견을 검토할 예정이며, 특별한 의견이 없을 경우 최종 인가가 날 것으로 보인다"며 "반대 의견이 있을 수 있지만 일방적인 주장이며, 산림 훼손 규모나 생태계 영향 관련 대책은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모두 마쳤다"고 말했다.
이어 "환경영향평가에서 보완 요청이 있었던 송신탑 전파방해 문제에 대해서는 방송국 측과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