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부산시청 회의실에서 '건설업 위기 극복 전문가·건설업계 회의'가 열렸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지역 건설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전문가와 머리를 맞대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부산시는 지난 18일 오후 2시 시청 회의실에서 '건설업 위기 극복 전문가·건설업계 회의'를 열고 건설업 활성화와 금융지원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20일 밝혔다.
회의에는 한국건설산업연구원와 부산연구원, 주택도시보증공사, 대학교수, 건설기계 관련 업계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2월 열린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 방안회의의 후속으로, 건설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침체한 지역 건설경기의 활력을 높이기 위한 대책을 내놓고자 마련됐다.
부산시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전국의 건설 수주는 11조 3천억 원으로, 최근 6년간 같은 달 기준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건설 물량이 감소하면서 전국 건설업 고용자도 지난해 5월부터 10개월 연속 감소했다.
부산의 미분양 주택도 최근 5년 평균 대비 186% 증가했고 준공 후 미분양은 최근 5년 대비 215% 급증해 최근 10년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밖에 최근 정치·대외적 불확실성까지 겹쳐 현재 진행 중인 공사도 위축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건설업계에서는 공사 물량 확대도 중요하지만 공사비를 현실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또 중소 건설사업과 유지보수 건설 공사에 중점을 둔 물량 확대도 추진돼야 한다고 건의했다.
전문가들은 미착공 중인 공사가 많은 점을 지적하며 착공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임경모 부산시 도시혁신균형실장은 "이번 회의는 건설업 위기 극복을 위해 긴급하게 만든 자리이자 시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는 자리"라며 "건설 현장과 전문가의 의견을 향후 대책에 반영할 계획이며 필요할 경우 관련 회의를 수시로 개최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