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제 주축은 중소기업, 경제 공헌도 대기업 압도

부산경제 주축은 중소기업, 경제 공헌도 대기업 압도

최근 10년간 부산 일자리, 中企 22만1천명 창출, 대기업은 1만 9천명 감소
사업체 수, 생산액, 부가가치 등 지역경제 위상 및 기여도 중소기업이 압도적으로 높아

부산지역 全 산업 일자리 수, 2007~2016년 (사진 =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울산지역본부)

 

부산지역 중소기업의 최근 10년간 부산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기여도가 대기업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울산지역본부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년간 통계청 자료를 참조해 중소기업 위상 변화와 지역경제 공헌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부산지역 중소기업은 전체 일자리 수의 96.1%. 사업체 수 99.9%, 생산액 76.3%, 부가가치 창출액 79.3%를 기록하며 부산경제의 중심으로서 양적·질적으로 공헌도가 매우 높다는 분석이다.

먼저, 부산지역 전체 산업 일자리 수는 2016년을 기준으로 총 112만 4776명에 이르며, 이 가운데 중소기업이 108만 723명으로 96.1%를 차지한 반면 대기업은 4만 4053명으로 3.9% 비중에 그쳤다.

최근 10년간 일자리 수 변화에서도 중소기업은 22만 1792명이 증가한 것과 대조적으로 대기업은 1만 993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발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을 포함한 숫자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해 중소기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체 수도 부산 전체 26만 6859개 가운데 중소기업이 26만 6651개로 99.9%를 차지했고, 대기업은 208개로 0.1%에 그쳤다.

최근 10년간 중소기업은 2만 3478개가 증가한 반면, 대기업은 62개 늘어나는데 머물렀다.

생산액은 2016년 기준 총 45조 4300억 원 중 중소기업이 34조 6600억원으로 76.3%를 차지했고, 대기업은 10조 7700억원으로 23.7%을 담당했다.

10년간 생산액 변화도 중소기업은 10조 17억원 증가하는 동안 대기업은 2조 3000억원 증가에 그쳤다.

부가가치 창출액은 2014년 기준 15조 7000억 원 가운데 중소기업이 12조 4400억원으로 79.3%를 차지했고, 대기업은 3조 2600억원으로 20.7% 비중에 그쳤다.

2007년부터 2014년까지 부가가치액 증감 추이를 살펴보면, 중소기업은 3조 5200억원 증가했고, 대기업은 5900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같은 결과는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부산의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 정책과 기업규제 개혁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중소기업중앙회 김기훈 부산울산지역본부장은 “최근 경제 위기의 늪에 빠져들고 있는 부산지역의 경우 중소기업의 성장과 발전 없이는 경제 성장 동력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일자리 창출과 청년들의 탈부산을 막기 위해, 작지만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이 더 많이 탄생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 정책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스페셜 그룹

부산 많이본 뉴스

중앙 많이 본 뉴스